걸어온 길
- 2024
-
-
12
- 「아셈노인인권 전문가 대담 및 라운드테이블」 17차 Silvia Perel-Levin 전 위원장 (제네바 고령화 NGO 위원회)
- 정책연구보고서 “자살과 노인인권: 호주, 한국, 스웨덴의 비교국가연구” 발간
- 정기 동향보고서(이슈포커스) 스페셜호 “Korea's Framework Act on the Human Rights of Older Persons” 발간
-
11
- 「노인인권포럼」 18차 포럼 “인구감소지역 노인의 생활실태와 인권보호 방안 모색” 개최
-
09
- 「노인인권포럼」 17차 포럼 “연령주의, 나이를 이유로 한 노인 차별 실태 및 개선방안” 개최
- 태국 “포용적 사회를 위한 세대간 연대 증진 및 웰빙 제고” 국제 컨퍼런스/워크숍 공동주최(주최: 태국 사회개발인간안보부 및 출라롱콘대학교)
-
07
- 「제4차 아셈 노인인권 현실과 대안 포럼」 “동남아시아 노인인권과 시민사회” 개최
- 정기 동향보고서(이슈포커스) 봄여름호 “기후변화와 노인인권” 발간
- 「아셈노인인권 전문가 대담 및 라운드테이블」 16차 동남아시아 5개국(캄보디아, 인도네시아, 말레이시아, 필리핀, 태국) 국가인권기구 및 시민사회단체 전문가 라운드테이블
- 세계노인인권연합(Global Alliance for the Rights of Older People) 가입
-
06
- 「노인인권포럼」 16차 노인인권포럼 “노인인권기본법 제정 필요성” 개최
-
04
- 「노인인권포럼」 15차 포럼 “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를 위한 현황 진단 및 법제도 개선 방안” 개최
-
03
- 「아셈노인인권 전문가 대담 및 라운드테이블」 15차 글로벌 자문단 라운드테이블
-
02
- 제4대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이혜경 원장 취임
-
12
- 2023
-
-
12
- 「노인인권포럼」 14차 포럼 “노인의 존엄한 죽음” 개최
- 「아셈노인인권 전문가 대담 및 라운드테이블」 14차 “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노인인권” (한국, 노르웨이, 싱가포르, 일본, 독일 전문가 라운드테이블)
-
정기 동향보고서(이슈포커스) 스페셜호 “한국의 노인인권기본법: 필요성과 시안” 발간
- 노인인권기본법 제정 필요성 및 시안 관련 논의를 위한 외부 전문가 및 센터 연구진 참석 회의 총 18회 개최 (’23.3.~12.)
- 정책연구보고서 “아셈회원국 노인인권을 위한 보건•복지 디지털 기술의 공공화 현황 및 강화 방안 비교 연구” 발간
- 정기 동향보고서(이슈포커스) 가을겨울호 “웰다잉과 노인인권” 발간
- 노인인권 교육교재 “활기찬 노후생활 준비와 인생의 꿈 실현을 위한 생애설계 배움카드” 발간
-
10
- 「노인인권포럼」 13차 포럼 “연령주의와 노인빈곤” 개최 (광주 세계인권도시포럼 참가)
-
09
- 「노인인권포럼」 12차 포럼 “노인의 외롭지 않을 권리” 개최
-
07
- 「제3차 아셈 노인인권 현실과 대안 포럼」 “지역사회에서 나이들기” 개최
- 정기 동향보고서(이슈포커스) 봄여름호 “노인의 주거권” 발간
- 「아셈노인인권 전문가 대담 및 라운드테이블」 13차 Margaret Young 창립자 (캐나다 Age Knowble, GAROP 회장)
-
05
- 「노인인권포럼」 11차 포럼 "Ageing in Place를 위한 현행 노인장기요양제도의 한계와 개선방안 모색" 개최
-
04
- 「아셈노인인권전문가와의 대담 및 라운드테이블」 12차 Eduardo Klien 대표 (HelpAge International 아시아태평양 대표)와의 대담
-
03
- 「노인인권포럼」 10차 포럼 “주거취약계층 노인의 실태와 적절한 주거에 대한 권리 보장” 개최
-
01
- “AGAC 글로벌 자문단” 발족
-
12
- 2022
-
-
12
- 「노인인권포럼」 9차 포럼 “유엔 노인권리협약 성안 동향과 국내 노년학 ·노인의학회 협력 방안” 개최
- 정기 동향보고서(이슈포커스) 스페셜호 “노인인권 증진을 위한 한국의 모범 사례들” 발간
- 정책연구보고서 “아셈회원국의 노인인권 관련 법 제도 연구 및 제도분석” 발간
- 정기 동향보고서(이슈포커스) 가을겨울호 “커뮤니티 빌딩과 노인인권” 발간
- 노인인권 교육교재 “활기찬 노후생활 준비와 인생의 꿈 실현을 위한 생애설계” 발간
- 「아셈노인인권전문가와의 대담 및 라운드테이블」 11차 글로벌 자문단 라운드테이블
-
11
- 「아셈노인인권 전문가 대담과 세미나」 10차Arne Henning Eide 박사(노르웨이 SINTEF 연구소)와의대담
-
09
- 「제2차 아셈 노인인권 현실과 대안 포럼」 “노인인권과 정신건강” 개최
- 「아셈노인인권 전문가 대담과 세미나」 9차 Andrew Fagan 교수(영국 Essex 대)와의 대담
-
08
- 「노인인권포럼」 8차 포럼 “노인의 뇌 건강과 삶의 질” 개최
- 「아셈노인인권 전문가 대담과 세미나」 8차 유럽사회복지정책센터 연구진과의 대담
-
07
- 「노인인권포럼」 7차 포럼 “노인의 일과 노동이 같은 의미에 관한 다각적인 고찰Ⅱ” 개최
-
06
- 「아셈노인인권 전문가 대담과 세미나」 7차 Diego De Leo 교수(호주 Griffith 대)와의 대담
- 정기 동향보고서(이슈포커스) 봄여름호 “정신정서적 건강과 노인인권” 발간
-
04
- 유엔고령화개방실무그룹 공식승인 및 제12차 회기 참여
- 「노인인권포럼」 6차 포럼 “노인의 일과 노동이 같은 의미에 관한 다각적인 고찰Ⅰ” 개최
- 「아셈노인인권전문가대담과세미나」 6차Michelle Lim 교수(호주 Swinburne Technology 대)와의대담
-
03
- 「노인인권포럼」 5차 포럼 “유엔 노인권리협약 성안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동향과 전망” 개최
- 세계노인권리연합(GAROP)에서 진행하는 전 세계 동시 캠페인 Age with Rights, Global Rally 참여
-
01
- 제3대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지은희 원장 취임 (연임)
-
12
- 2021
-
-
12
- 정책연구보고서 “아셈회원국 연금제도 현황 및 비교분석” 발간
- 정기 동향보고서(이슈포커스) 가을겨울호 “노인빈곤과 노인의 권리” 발간
-
11
- 「제20차아셈노인인권세미나」 노인인권후속사업-아시아유럽재단(ASEF)의“노인인권 위탁교육” 기획및수행
- 「노인인권포럼」 4차 포럼 “노인빈곤Ⅱ(노인빈곤에 대한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해법의 모색)” 개최
- 정기 동향보고서(이슈포커스) 스페셜호 “노인인권 증진을 위한 한국의 모범 사례들” 발간
- 「아셈노인인권전문가대담과세미나」 5차Christopher Mikton 선임연구원(세계보건기구)과의대담
-
10
- 「제1차 아셈 노인인권 현실과 대안 포럼」 “재난 및 긴급상황에서의 노인인권” 개최
- 「아셈 글로벌 노인인권 캠페인」 플랫폼 구축
-
09
- 「노인인권포럼」 3차 포럼 “노인빈곤Ⅰ” 개최
-
06
- 「노인인권포럼」 2차 포럼 “노인복지와 인권의 긴장과 친화성” 개최
- 정기 동향보고서(이슈포커스) 봄여름호 “노인학대와 노인의 권리” 발간
-
05
- 「아셈노인인권전문가대담과세미나」 4차Anna Chabiera 전문관(국가인권기관유럽네트워크)과의대담
-
04
- 「노인인권포럼」 운영위원회 발족 및 1차 포럼 “노인인권의 국제적 흐름” 개최
- 「아셈노인인권전문가대담과세미나」 3차Giang Thanh Long 교수(베트남 National Economics 대)와의대담
-
03.
- 「아셈노인인권 전문가 대담과 세미나」 발족 및 1차 Titti Mattsson 교수(스웨덴 Lund 대)와의 대담
- 「아셈노인인권 전문가 대담과 세미나」 2차 David Natali 교수(이탈리아 Sant’Anna 대)와의 대담
-
02.
- 제20차 아셈인권세미나 “노인인권” 개최(아시아유럽재단, 외교부, 국가인권위원회 공동)
-
12
- 2020
-
-
12.
- 공직유관단체 지정(국가인권위원회 소관)
- 정책연구보고서 발간(아셈 회원국 연령주의 척도개발 기초연구)
- 노인당사자 인권교육 교구 개발(노인을 위한 유엔원칙 배움카드 세트 및 가이드북)
- 정책 우수사례(한국) 보고서(코로나19, 노인보호를 위한 한국의 대응) 발간
-
11.
-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자문위원회, 전문위원회 발족
- 「노인인권포럼」 추진 운영위원회 발족
-
07.
- 정기 동향보고서 창간호 발간(이슈포커스, 연2-3회 발간)
-
06.
- 「코로나19와 노인인권: 지역사회의 대응] 웨비나 개최(UNESCAP, UNFPA, HelpAge International 등 공동)
-
05.
- 인권과 노인복지 전문가 연속 세미나 개최(5~10월, 총 8회차)
-
01.
- 제2대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지은희 원장 취임
-
12.
- 2019
-
-
12.
-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-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업무협약 체결
-
11.
- 고령화 인식개선 캠페인 추진(서울국제돌봄엑스포)
- ‘디지털 전환과 노인인권’ 국제세미나 개최(독일 프리드리히 나우만재단 공동)
- 정책연구보고서 발간(가족 내 노인학대 및 가족돌봄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)
- 정책연구보고서 발간(노인혐오차별 실태조사)
-
10.
- 제4차 아셈노인인권컨퍼런스 개최(EU공동 주관)
- 정책연구보고서 발간(노인의 정서적 건강 지원 관련 실태조사 및 정책분석 연구)
- 정책연구보고서 발간(회원국 노인인권정책 우수사례조사: 치매중심)
-
06.
- '노인의료복지시설 입·퇴소에서의와 자기결정권' 국회 토론회(원혜영 국회의원의원실 공동)
-
05.
- 제주포럼 세션 「아시아, 혐오와 차별을 넘어 포용과 공존으로」 개최 (국가인권위원회 공동)
-
04.
-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-대한요양병원협회 업무협약 체결
-
02.
-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-한국노인장기요양기관협회 업무협약 체결
-
01.
-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-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 업무협약 체결
-
12.
- 2018
-
-
12.
-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정책 연구보고서 발간(노인권리기반 장기요양서비스 제도개선방안 연구: 노인의료복지시설 입·퇴소 등에서의 자기결정권 보장방안 연구)
-
10.
- 아셈정상회의 시, 대한민국 문재인 대통령이 센터 개소 성과 발표
-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-한국노인복지중앙회 업무협약 체결
-
09.
- 제3차 아셈노인인권컨퍼런스 개최(국가인권위원회 공동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주관)
-
06.
-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개소(6.26.)
-
01.
- 제1대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임홍재 원장 취임
-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법인 설립
-
12.
- 2016
-
-
07.
- 제11차 아셈정상회의,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대한민국 개소 승인
-
07.